Hobby Nation/HealthCare

신[장]질환에 관하여

쿠즈가이2 2019. 5. 9. 02:55


신[장]질환, Kidney disease, []



신장질환

어떤 원인으로 신장기능이 저하될 때 발생하는 병증 형태의 총칭입니다. 신장은 제8흉추에서 제2요추간의 후복막 하에 위치하는 중량 300g가량의 좌우 1쌍의 구조체로, 소변의 생산과 물 · 전해질대사의 조정, 질소대사산물의 배설, 약물 · 독물의 배설 외에 효소 분비작용을 합니다.


신질환에는 신 자체에 장애가 있는 경우와 전신성 질환으로 속발되는 경우가 있는데, 전자에는 사구체신염, 네프로제증후군, 신우신염 등이, 후자에는 당뇨병 ·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에 속발되는 신증이 있습니다. 


치료는 식사요법, 안정요법, 안전요법이 주체가 된다고합니다. 신장질환은 자각증세가 미약하고 얼굴 부종이나 검진으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혈뇨 등의 뚜렷한 자각증세가 있어서 발견되는 경우는 병세가 비교적 진행되었다는 것을 뜻합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신[장]질환 [kidney disease, 腎[臟]疾患]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신장질환과 혈압과의 관계


현재 국내 만성신부전 환자의 2/3는 당뇨병과 고혈압이 원인이며 신장질환자의 혈압을 적절하게 관리하지 않으면 신기능도 급속도로 악화돼 신장질환자의 혈압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다수의 연구에서 신장질환자 혈압관리의 중요성이 드러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국내 신장내과 전문의들의 관심도 증폭된 가운데 지난 11월 21일과 22일 청년의사 주최, 한국바이엘 후원으로 ‘신장내과 환자의 혈압 관리’를 주제로 좌담회가 열렸다. 


이번 좌담회에 연자로 참석한 Luis M. Ruilope 박사를 만나 고혈압을 동반한 신질환자의 혈압관리의 중요성과 최신 지견에 대해 들어봤다. 


Luis M. Ruilope 박사는 스페인 마드리드 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병원 교수로 재직 중이며,

‘Journal of Hypertension’, ‘Journal of Human Hypertension’ 

‘Journal of American Scciety of Nephrology and Nephrology’의 

Board Member 였으며 ‘VALUE study’의 chairman을 맡은 바 있습니다.



Q. 신장질환자들에게 있어 혈압관리의 중요성은?


A. 신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혈압과 혈당이다. 실제로 당뇨 또는 고혈압을 가진 환자들에게서 신장질환의 위험이 높고, 반대로 신장이상이 생기면 혈압과 혈당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서로 교차상태에 있는 형태라고 보면 된다. 

특히 신장이상이 생기면 고혈압이 유발되고, 이는 여러 가지 심혈관계 질환들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신장질환과 혈압은 따로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다. 질병의 악화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고혈압을 철저하게 예방 및 관리해줘야 한다.


Q. 신장질환의 혈압관리에 적절한 약제를 추천한다면?


A. 신장질환자들의 혈압관리에는 여러가지 약제가 사용된다. 특히 이들 약제들 간의 병용요법이 일반적인데 적게는 2개에서 4개 이상까지 병용이 이뤄지고 있다. 신장질환자는 강력한 혈압관리가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CCB(Calcium Channel Blocker)는 효과적인 약물이라고 볼 수 있다. CCB는 혈압강하효과면에서 ARB나 ACE 저해제보다 뛰어나기 때문에 신장질환자들의 혈압관리에 CCB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본다. 

[출처] “신장질환자 혈압조절, CCB 적극 사용 해야” | http://www.fromdoctor.com

 



고혈압의 원인 중 신장 질환은?

신장 질환은 어느 것이라도 고혈압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흔한 원인으로는,


       ① 사구체신염

       사구체라고 불리는 아주 작은 여과기능을 갖는 기관에 염증이 발생한 질환들이 있습니다.

       ② 다낭성 신질환

       신장내에 많은 물주머니가 발생하는 질환으로 유전성 질환입니다.

       ③신장 동맥 협착증

       신장으로 가는 주요 동맥이 가늘어져 생기는 질환입니다. 


그 밖에도 신부전증에서는 체내에 수분과 염분이 많이 쌓이거나, 레닌이라고 하는 호르몬이 분비되는 경우 고혈압이 발생합니다. 이런 질환들은 치료가 어려우나 완전히 치료될 경우 고혈압도 따라서 치료됩니다. 예를 들면 신동맥 협착증은 수술이나 혈관성형술이라 불리는 기법으로 치료될 수 있습니다.


신장 질환 이외에도 내분비 질환(예:갑상선 질환)이 고혈압의 원인이 되나 매우 드뭅니다. 피임약, 감기약과 같은 약물도 고혈압을 일으킬 수 있으며, 고혈압이 있을 때에는 현재 복용하는 약을 반드시 의사와 상의하여 지시에 따라 바꾸거나 복용을 중지해야 합니다.


고혈압은 어떻게 신장을 손상시키는가? (반대의 상황_고혈압이 신장을 손상시키는 경우)

고혈압은 신장 혈관들을 굵게 만들고 굳어지게 합니다. 이 과정에서 결국 신장은 혈액을 잘 공급 받지 못하게 되고, 신장은 기능을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신장은 노폐물을 제거하지 못하고 체내에 염분과 수분이 쌓이게 됩니다. 과다하게 수분이 쌓이면 심장에도 부담을 주게 되고 신장은 더욱 더 혈액 공급을 받을 수 없게 됩니다. 결국 신장은 더 이상 기능을 못하게 되는 신부전증에 빠지게 됩니다. 그러나 고혈압을 조기에 적절하게 치료 받으면 신부전증은 예방될 수 있습니다. 

<참고: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자료>


위와같이, 신장과 혈압의 관계는 상호의존적인 관계일 수 있습니다. 고혈압이 지속되면 신장에 무리를 줄 수 있고, 신장에 이상이 있으면, 혈압에 이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고혈압 #고혈압예방 #혈압 #혈압예방 #운동처방 #식이요법 #당뇨 #당뇨병 #신장 #신장질환